최근 공정거래 위원회에서 프랜차이즈를 운영중인 사모펀드기업들에 대한 '갑질'현황을 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오늘은 사모펀드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모펀드의 뜻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로, 공모펀드와 달리 투자 대상, 투자 비중 등에 제한이 없어 다양한 자산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유로운 투자 활동은 기업가치를 높여 고수익을 추구하는 바이아웃 투자에 주로 활용됩니다. 사모펀드는 공모펀드에 비해 규제가 덜하며, 투자 결정과 운용에 있어 더 큰 유연성을 가집니다.
국내 사모펀드 주요사례
1. bhc 치킨: MBK Partners에 의해 인수된 후, 가격 조정 및 운영 효율성 개선 등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였습니다.
2. 메가커피: 우윤파트너스와 프리미어파트너스가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파리바게뜨: 2011년 사모펀드인 베어링프라이빗에쿼티아시아(Baring Private Equity Asia)가 SPC그룹의 일부 지분을 인수하며 파리바게뜨의 글로벌 확장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외부 투자를 통해 파리바게뜨는 국내외 시장에서 더욱 활발한 확장을 도모할 수 있었습니다.
4. BBQ 치킨: 2018년, 사모펀드인 한앤컴퍼니가 BBQ 치킨의 운영사인 제너시스BBQ의 지분을 인수했습니다. 이를 통해 BBQ는 경영 효율성 증대와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에 나섰습니다.
5. CJ푸드빌: 2019년, 한국계 사모펀드인 KB인베스트먼트가 CJ푸드빌의 뚜레쥬르 사업부문의 일부 지분을 인수하는 큰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뚜레쥬르의 경영 개선과 글로벌 사업 확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사모펀드가 한국의 프랜차이즈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줍니다. 사모펀드는 자본과 경영 전략을 제공하여 기업 가치를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인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논란과 문제점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사모펀드 설립요건
사모펀드를 설립하기 위해서는 자산운용사가 필요하며, 투자 계획을 세우고 금융 상품을 만들어야 합니다. 투자자로부터 자본을 출자받아 기업이나 채권, 부동산에 투자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대부분의 사모펀드는 차입 매수(Leveraged Buyout)를 통해 회사를 인수한 후, 일정 기간 동안 기업 가치를 높여 판매하며 이익을 남깁니다.
사모펀드 투자방법
사모펀드에 투자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자산운용사 또는 해당 펀드가 설정한 투자 조건과 요건을 충족하는 투자자가 될 수 있는 고액자산가나 기관 투자자들에게 제한됩니다. 투자자는 사모펀드의 투자 전략, 수익률 전망, 운용 방식 등을 평가한 후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국내 사모펀드 이슈
사모펀드는 높은 수익률을 목표로 하지만, 그만큼 높은 위험도 수반합니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가 사모펀드 소유 프랜차이즈의 '갑질'을 조사하는 등, 사모펀드의 공격적인 운용 방식이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필수품목 지정, 판촉비 전가 등의 불공정 행위는 가맹점주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모펀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