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이란?
이마트, 코스트코 등 대형마트를 가거나 편의점을 가서 물건을 사거나 외식을 하러 식당을 가 게 되면 이상하게 가격은 그대로거나 상승했는데 양이 줄었다거나 맛이 변했다는 등 알 수 없는 무언가를 체험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스킴플레이션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이란?
스킴플레이션은 '인색하게 굴다'라는 의미의 영단어 (Skimp)와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Inflation)이 합쳐진 새로운 경제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이코노미스트 앨런 콜이 해당 단어를 처음으로 만들어 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스킴플레이션이란 쉽게말해 물가가 상승하여 가격이 올랐지만 오른 가격에 비해 상품,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예시를 통해 어떤것들이 스킴플레이션에 해당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과일주스의 과즙 함유량이 낮아지고 일반 액상과당 함유량이 증가한 경우
2) 삼겹살가게에서 기본으로 주던 밑반찬의 질이 현격하게 낮아지는 경우
위와 같은 경우처럼 물가상승률이 반영이 되었지만 양이나 질 모두가 떨어지는 현상들을 스킴플레이션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스킴플레이션의 원인은?
스킴플레이션의 원인은 다양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물가상승률 반영
스킴플레이션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물가상승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지만 서비스와 상품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올리기 힘든게 현실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원재료, 중량 부분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소비자를 눈속임하기 위한 행위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국내외 정서반영
현재 러시아 - 우크라이나가 지속적으로 전쟁을 하고있고, 더불어 이란 - 하마스의 전쟁이 진행중입니다. 이러한 정세속에서 원자재 수급, 원유 수급 등 물류에 차질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것들이 가격에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스킴플레이션을 겪는 상황속이 놓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스킴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불안한 국제정세 속에서 스킴플레이션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비단 다른나라도 겪는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얼른 지불한 가치만큼의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물가, 국제정세가 안정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