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E란?
주식을 하기 위해선 여러 지표를 챙겨 봐야 성공적인 투자에 가까워 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PBR, PER, ROE, 코스피 등 봐야할 지표가 다양하게 있습니다. 오늘은 이 지표 중 ROE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BR과 PER은 이전에 게시를 한 내용을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2024.02.08 - [분류 전체보기] - PBR 뜻 (PBR이란? 계산법, 주가 알아보기)
PBR 뜻 (PBR이란? 계산법, 주가 알아보기)
PBR 뜻 최근 정부에서 코리아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증시를 부양하기 위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저평가 받고있는 국내 기업들의 공정한 평
isurfer.jusinsight.com
2024.02.09 - [분류 전체보기] - PER 뜻 (PER이란? PER계산법 알아보기)
PER 뜻 (PER이란? PER계산법 알아보기)
PER이란? 주식투자를 시작하게 되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활용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사용하면서 중요하게 봐야하는 지표중에 하나가 PER이라고 생
isurfer.jusinsight.com
ROE란?
ROE란 Return on equity의 줄임말이며, 우리말로 자기자본 이익률이라고 합니다. ROE는 자기자본을 활용하여 사업을 수행하였을 때, 수익을 어느정도 거뒀는지에 대해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ROE가 높을수록 자기자본을 활용하여 높은 수익을 낸 알짜배기 기업이고 ROE가 낮으면 가진 자본에 비해 수익을 많이 거두지 못한것이므로 내, 외부적으로 무엇인가 문제사항이 있는 것이라고 1차적으로 판단할 근거를 주는 것 입니다.
ROE 계산방법
ROE = 당기순이익 / 평균자기자본 * 100%로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자기자본에는 주주지분을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 ROE를 계산해보겠습니다. 100억원의 자기자본을 가진 회사가 10억원의 당기 순이익을 마크하게 된다면 이 회사의 ROE는 10%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ROE가 30%이라는 결과가 나왔다면 100억원의 자기자본으로 30억의 당기순이익을 마크했다고 계산하면 됩니다.
이렇게 ROE가 높은 기업은 당기순이익을 많이 낸 회사이므로 경영활동을 우수하게 수행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ROE가 높은 종목일수록 투자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게 되므로 투자자 측면에서 우선순위로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는 종목이 됩니다.
ROE를 관리하는 방법
ROE를 계산하는 주요 지표는 순이익과 자본이므로, 순이익과 자본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면 ROE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기존에 하던 사업의 수익성을 개선하여 당기 순이익이 증가하게 되면 ROE가 상승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당기순이익은 그대로지만 자기자본을 낮추게 되어도 ROE가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자본이 줄어든다는 것은 긍정적일수도 있고 부정적일수도있지만 긍정적인 변화 (배당, 자사주 소각)이 일어나게 되면 ROE가 오르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OE가 높은 회사
2024년 2월 24일 기준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SDI, 기아, 카카오, 셀트리온, 메리츠금융지주와 같은 주식들이 ROE 10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외 다양한 종목들의 ROE는 아래링크에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 : 네이버페이 증권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지금까지 ROE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ROE가 높은것은 물론 영업수완이 좋은 기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나, 단순히 ROE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주식투자를 하는것은 리스크가 있으며 종목의 모든 상황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권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PER, PBR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투자를 결정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의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씀드리며, 모두 성투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