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이란?

by 인터넷서퍼 2023. 11. 17.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이란?

'질소과자'를 아시나요? 과자가 부서지거나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넣은 질소가 과자양보다 많아 과자를 사는건지 질소를 사는건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을정도로 과자가 적게 들어있는 경우가 종종 있을겁니다. 이러한 패키지 다운사이징(Package down sizing)은 기업이 물가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슈링크플레이션이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이란?

 

슈링크플레이션은 '줄어들다'라는 의미의 (Shrink)와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Inflation)의 합성어로서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의 크기 및 중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낮추는 방식으로 물가상승을 대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피파 맘그렌이 최초로 고안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흔히들 패키지 다운사이징(Package down sizing)이라고 불리며 실질적인 가격인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만들어 내는 방법입니다.

 

예시를 통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과자 가격은 그대로인데 함량이 줄어든 경우 (a.k.a질소과자)

2) 다섯개 들어있는 냉동핫도그가 5개에서 4개로 줄어들면서 가격이 유지되는경우

 

 

위처럼 가격은 변동없지만 내용을 줄이며 금액은 올리지 않았지만 가격인상을 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수단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슈링크플레이션의 원인

1) 물가상승

물가가 상승하여 원자재 상승 및 물류비 등 각종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습니다. 물가상승을 대응하기 위해 여러 방안이 있는데, 가격을 유지하며 중량을 낮추는 방식이 가격인상보다 고객에게 반감을 덜 사는 방법이라고 판단하여 기업들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 소비자 심리이용

위에서도 살짝 언급했지만 가격이라는 요소가 소비심리에 결정적인 요인이다 보니 가격을 유지하기 위한 '꼼수'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중량은 가격에 비해 중요하게 살펴보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슈링크플레이션과 스킴플레이션

슈링크플레이션과 스킴플레이션 모두 물가상승을 대응하기 위한 기업들의 수단이지만, 방식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가격유지 중량감소의 전략을 구사하는 반면, 스킴플레이션은 가격을 인상하였지만 인상한 가격대비 서비스, 질이 안좋아지는 현상을 의미하여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는 단어입니다.

 

스킴플레이션은 아래 글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2023.11.16 - [분류 전체보기] - 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이란?

 

지금까지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업이 생존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지만 엄연한 소비자기만, 꼼수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해당 현상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