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PA 간호사란? (PA 제도란? PA제도 도입시 문제점 등)

by 인터넷서퍼 2024. 3. 9.

PA 간호사란

전공의 파업이 지속되면서 전국적으로 의료공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정부에서는 PA제도카드를 꺼내 간호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PA제도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02.21 - [분류 전체보기] - 일반의 전공의 전문의 차이

 

일반의 전공의 전문의 차이

일반의 전공의 전문의 차이 최근 의사 충원관련된 내용으로 인해 정부와 의사간의 충돌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의사쪽에서는 전공의의 단체 사직 및 의학생들 휴직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의견을

isurfer.jusinsight.com

 

반응형

 

PA 제도란?

PA제도란

PA(Physician Assistant) 제도는 의사 면허가 없는 인력이 의사의 일부 업무를 위임받아 진료 보조를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의사의 수술 보조, 처방 대행, 진단서 작성, 시술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대부분 간호사들이 이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현행 의료법상 진료보조인력으로서의 법적 근거가 없어 불법의료행위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불구하고, PA 간호사는 2000년 초부터 개별 병원 차원에서 관행처럼 활용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1만 명 안팎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PA 간호사란?

PA간호사란?

PA 간호사는 의사의 지시 하에 다양한 의료 행위를 수행하는 진료 보조 인력입니다. 이들은 수술실 간호사, 임상전담간호사 등으로 불리며, 외래, 병동, 중환자실, 수술실 등에서 의사를 대신해 처방, 수술 지원, 검사 등을 맡습니다. 의사의 부족한 일손을 보충하고 인건비 절감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현재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반응형

 

PA 간호사 도입배경

PA  간호사란

PA 간호사의 도입 배경에는 의료 인력의 부족과 의료 서비스 효율성 증대라는 필요성이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PA 간호사의 역할 제도화를 추진하여 현재의 의료 공백 사태를 막고 장기적으로 의료 체계를 개편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는 간호사들이 의료 현장에서 더 많은 진료 행위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의료 체계 내에서의 역할을 명확히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최근에는 전공의의 의료파업으로 인해 발생 된 공백을 메우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해당 제도에 대해 검토를 하고 있는 상황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반응형

 

국내 PA 제도 상황의 주요쟁점

PA 간호사란

 

법적 불확실성: 한국의 PA는 의료법에 명시적으로 인정되어 있지 않아, 의사가 아닌 진료보조인력에 의한 의료 행위가 법적으로 불확실한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PA 간호사가 수행하는 의료 행위가 무면허 의료행위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의료사고 발생 시 법적 책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의료 인력 부족 문제: PA 간호사의 도입 배경 중 하나는 의료 인력 부족 문제입니다. 특히, 전공의의 근무 시간 제한과 의료 인력의 지역적 불균형 문제가 PA 간호사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제도화와 합법화 논의: PA 간호사의 역할과 지위를 명확히 하기 위한 제도화 및 합법화 논의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PA 간호사 역할의 제도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의료 체계 내에서 PA 간호사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간호계와 의료계의 입장 차이: PA 간호사의 역할 확대 및 제도화에 대해서는 간호계와 의료계 사이에 입장 차이가 존재합니다. 일부에서는 PA 간호사의 역할 확대가 의료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의료 인력 부족 문제 해결 및 의료 서비스 효율성 증대를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반응형

 

PA 간호사 도입 시 장,단점

PA간호사란

장점

의료 인력 부족 문제 해결: 의료 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보충하여 의료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의료 서비스의 효율성 증대: 의사의 부담을 줄이고, 환자 치료에 더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인건비 절감: 의료기관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워라밸 향상: 상근직으로 근무하여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단점

법적 보호의 부재: 법적 지위가 명확하지 않아 불법의료행위의 소지가 있습니다.

의료사고 발생 시 법적 책임 문제: 의료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불명확할 수 있습니다.

의사와의 업무 경계 모호: 업무 분담과 권한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PA 간호사 도입 시 고려되는 문제사항

PA간호사란

 

무면허 의료행위의 소지: 법적 보호가 없어 일부 의료 행위가 무면허 의료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의료인력 수급 문제: 인력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단기적인 대안으로 활용될 위험이 있습니다.

 

병상 수 증가로 인한 업무량 증가: 과중한 업무량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의 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전문 교육 부재로 인한 의료 서비스 질 하락: PA 간호사가 임상 경험만으로 의료 행위를 수행하게 되면 전문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전공의 교육 기회 박탈: PA 간호사의 업무 확대가 전공의의 수련 및 교육 기회를 축소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지금까지 PA 간호사 및 PA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이슈가 되는 사항이니 만큼 향후 어떤식으로 의료체계가 변경될지 귀추가 주목되는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