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번들플레이션이란? (나날이 늘어가는 꼼수)

by 인터넷서퍼 2023. 11. 25.

번들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치솟으며 물건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모든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것을 체감하고있습니다.

이러한 불경기 속에서 가격인상을 하는 것이란 기업에게 있어 여간 쉽지 않은 일이라고 판단한 기업은 다양한 방법을 토대로 물가상승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는 번들플레이션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번들플레이션이란?

번들플레이션이란 번들(Bundle)과 물가상승(Inflation)의 합성어이며 묶음제품을 낱개보다 비싸게 판매하는 기업들의 행태를 일컫는 신조어 입니다. 이것은 묶음제품이 낱개제품보다 쌀 것이라는 기본적인 소비자의 편견을 이용한 상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번들플레이션의 예시

간단하게 번들플레이션의 예시를 들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즉석밥 1개의 가격을 1천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6개 번들을 구매하면 6천3백원, 36개를 구매하면 3만7천원에 판매하는 것 처럼 묶음으로 구매하면 저렴할 것이라고 생각한 소비자의 심리를 이용하여 더 비싼 비용을 부담하게 만드는 수법입니다.

 

반응형

 

번들플레이션이 생기는 이유

이처럼 번들플레이션은 말도 안되는 눈속임과 소비자의 심리를 이용하여 마진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법은 주로 인터넷 온라인에서 수행이 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단위당 가격표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으로 보고있습니다.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마켓을 가게 되면 100g당 가격이 명시되어 있어 번들이든, 낱개든 동일한 단위로 가격을 비교하여 더 저렴한 것을 구매할 수 있도록 판단할 수 있지만, 온라인은 단위당 가격표시가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묶음상품은 더 싸다는 소비자의 구매심리를 악용하는 것 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반응형

 

번들플레이션 예방방법

슈링크플레이션, 스킴플레이션, 번들플레이션 등 소비자의 착각이나 실수, 비합리적 지출을 유도하는 판매방식을 한국소비자원에서는 '다크패턴'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번들플레이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했던 '단위당 가격표시'를 활용하는 것 입니다. 100g당 가격을 비교하여 저렴한 것을 구매하는 것 입니다. 다만, 온라인에서는 표시가 되어있지 않아 직접 계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이러한 '다크패턴'을 예방하기 위해 단위당 가격표시를 의무화 하는 등 다양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금까지 번들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눈속임에 속지 않기 위해 한번 더 고민하고 비교해야하는 습관을 들여야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글

2023.11.16 - [분류 전체보기] - 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이란?

 

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이란?

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이란? 이마트, 코스트코 등 대형마트를 가거나 편의점을 가서 물건을 사거나 외식을 하러 식당을 가 게 되면 이상하게 가격은 그대로거나 상승했는데 양이 줄었다거나

isurfer.jusinsight.com

2023.11.17 - [분류 전체보기] -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이란?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이란?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이란? '질소과자'를 아시나요? 과자가 부서지거나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넣은 질소가 과자양보다 많아 과자를 사는건지 질소를 사는건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을정

isurfer.jusinsight.com